100년이 된 한옥이라고 하는데 그 시간을 넘어 여자는 남자가 돌아올 동안 집을 만들어간다. 낡은 벽을 다듬기 위해 흰색 한지를 자르고 사다리를 밟고 올라서서 천정을 바르고 높은 벽을 바르고 문틀도 발랐다.
낮밤을 잊고 사다리에 기댄 종아리와 발목이 파랗게 멍이 들었지만 그것은 눈물겨운 행복.
밤에는 전등을 켜고 낮에는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 속에서 고전주의 화파의 모델같은 실루엣으로 다듬어가는 그들을 위한 공간.
똑똑하지 않은 못질. 못답지 않은 못. 제대로 박히지 않은 못은, 흙벽의 몸체 여기 저기에 상처를 낸다. 목적이 있기에 기필코 박히고야 말겠지만 저 벽처럼 너덜너덜하고 상처에 바스러져 문득문득 생각이 난듯이 아래로 떨어지곤 하는 흙알갱이 낱알들.
바라보기가 무량하다.
여자는 맛나게 밥 할 줄도 모르고. 할 줄 아는 것은 그림그리기. 충만한 희망. 노상 심장이 두근거리는 뜨겁거나 차가운 끼. 눈부신 氣.
그리고 자기 남자가 사랑해 주는 것을 믿는 것.
돌아올 남자는 여자에게 맛난 밥을 해 줄것이고
그러면 여자는 남자에게 배운 맛있게 커피타는 법을 실천하여 서재에서 글쓰고 있는 남자에게 쟁반에 귀하게 받쳐들고 사뿐사뿐 다가갈 것이다.
나비가 날고 새들이 찾아오는 창가 그리고 가지나무, 고추, 상추 푸성귀가 심겨질 뒷 마당.
가득한 햇살이 따뜻하게 마루청에 안방에 다락에까지 들어오는 공간.
국화, 개양귀비, 개망초, 애기똥풀, 감나무에서 떨어던 감, 감꽃 향기, 반딧불이, 청개구리들, 모기들, 석류꽃, 작은 연못.
마당을 지나 왼쪽 한 켠에는 그림그리는 곳으로.
또 그 오른쪽 방에는 서재. 가운데 큰 방엔 안방으로, 대청마루 건너 작은 방은 사랑채.
남쪽을 향해 앞으로 바라보이는 곳은 넓은 논. 내리는 비를 담아내고 있는 논과 넓은 하늘.
분별력있고 씩씩하며, 집에 사는 사람을 너그럽게 바라볼 줄 아는 똑똑하고 활기찬 동물도 하나 있으면 좋겠다.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거나 달이 뜨거나 철철이 이파리들이 나뒹굴때 그리고 갖가지 이유들이 생길때 그들은 화구를 들고 카메라를 매고 언제든지, 오래된 그들의 차를 탈 수 있을 것이다. 오분 거리엔 주산지 못보다 아득한 못이 있고 그동안의 길 못지 않은 이쁜 길들이 있더라.
2011. 7. 10(일) / 烏
'썰 > 삶의미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가날이렇게만들었다 (0) | 2011.07.25 |
---|---|
치열하거나 돌았거나, 찬바람이 불면 온다. (0) | 2011.07.15 |
나비 (0) | 2011.07.05 |
희망과 위안을 주는 조우, 그리고 구원 (0) | 2011.07.02 |
영혼에 각성을 주는 그것, (0) | 2011.06.16 |